야구팬이라면 꼭 알아야 할 스탯과 세이버메트릭스 완벽 정리! (2탄)
지난번 글에서 야구 초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ERA, WHIP, OPS, WAR 등 주요 야구 스탯을 설명했어요. 이번 2탄에서는 빠뜨렸던 중요한 스탯들과 '세이버메트릭스'의 개념을 소개하면서, 각 지표별로 어떤 선수가 뛰어난 선수인지 더욱 명확히 알려드릴게요!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란?"
세이버메트릭스는 야구의 다양한 기록을 수학적이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선수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방법론이에요. 대표적인 스탯으로는 WAR, wOBA, BABIP 등이 있으며, 단순히 전통적인 지표(타율, 승수)에서 벗어나 선수의 실제 기여도를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투수 스탯
(1) ERA (평균자책점) 투수가 9이닝 동안 허용한 평균 자책점으로 투수의 능력을 평가합니다.
- ERA 3.00 이하 → 훌륭한 투수
- ERA 3.00~4.00 → 좋은 투수
- ERA 4.00~5.00 → 평균적인 투수
- ERA 5.00 이상 → 불안한 투수
(2) WHIP (이닝당 출루 허용률) 투수가 한 이닝 동안 허용한 안타와 볼넷의 합입니다.
- WHIP 1.00 이하 → 최상급 투수
- WHIP 1.00~1.30 → 좋은 투수
- WHIP 1.30~1.50 → 평균적인 투수
- WHIP 1.50 이상 → 불안한 투수
(3) FIP (수비무관 평균자책점) 투수의 삼진, 볼넷, 피홈런만으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4) QS (Quality Start, 퀄리티 스타트) 선발 투수가 한 경기에서 6이닝 이상 던지고 자책점을 3점 이하로 막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 시즌 20회 이상 → 에이스급 선발 투수
- 시즌 15회 이상 → 좋은 선발 투수
- 시즌 10회 미만 → 불안정한 선발 투수
(5) Holds (홀드) 중간계투가 팀 리드를 지켜낼 때 기록됩니다.
- 시즌 25홀드 이상 → 최상급 중간계투
- 시즌 15~24홀드 → 좋은 중간계투
- 시즌 15홀드 이하 → 평균 이하 중간계투
(6) 피OPS 투수가 상대 타자에게 허용한 출루율과 장타율을 합친 지표입니다.
- 피OPS .600 이하 → 매우 뛰어난 투수
- 피OPS .600~.700 → 좋은 투수
- 피OPS .700~.800 → 평균적인 투수
- 피OPS .800 이상 → 불안한 투수
(7) K/9 (삼진율) 투수가 9이닝 동안 잡아낸 삼진 개수입니다.
- K/9 9.0 이상 → 뛰어난 삼진 능력
- K/9 7.0~9.0 → 좋은 삼진 능력
- K/9 5.0~7.0 → 평균적인 삼진 능력
- K/9 5.0 이하 → 부족한 삼진 능력
(8) BB/9 (볼넷률) 투수가 9이닝 동안 허용한 볼넷 개수입니다.
- BB/9 2.0 이하 → 뛰어난 제구력
- BB/9 2.0~3.0 → 좋은 제구력
- BB/9 3.0~4.0 → 평균적인 제구력
- BB/9 4.0 이상 → 불안한 제구력
(9) 시즌 투구 이닝 투수가 한 시즌 동안 던진 총 이닝 수입니다.
- 200이닝 이상 → 내구성이 뛰어난 에이스급 투수
- 170~200이닝 → 안정적이고 좋은 선발 투수
- 140~170이닝 → 평균적인 선발 투수
- 140이닝 이하 → 내구성이나 실력이 부족한 투수
야구에서 선발 로테이션은 팀의 경기 일정과 투수들의 휴식 주기를 관리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메이저리그(MLB), 한국프로야구(KBO), 일본프로야구(NPB) 각각의 선발 로테이션 운영 방식은 리그의 일정과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메이저리그(MLB): MLB는 팀당 162경기를 치르며, 전통적으로 5인 선발 로테이션을 운영합니다. 이는 5명의 선발 투수가 순서대로 등판하며, 각 투수는 4일 휴식 후 5일째에 등판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일부 팀들이 투수들의 부상 방지와 체력 관리를 위해 6인 선발 로테이션을 고려하거나 도입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특정 상황에서 6인 선발 체제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한국프로야구(KBO): KBO는 팀당 144경기를 치르며, 주 6일 경기가 진행됩니다. 전통적으로 5인 선발 로테이션을 사용하며, 월요일이 고정 휴식일이기 때문에 선발 투수들은 5일 휴식 후 6일째에 등판하는 패턴을 따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일부 투수들은 특정 주기에 4일 휴식 후 등판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투수들의 체력 관리와 부상 방지를 위해 6인 선발 로테이션 도입이 논의되기도 했습니다.
일본프로야구(NPB): NPB는 팀당 143경기를 치르며, 주 6일 경기가 진행됩니다. 대부분의 구단이 6인 선발 로테이션을 운영하며, 이는 선발 투수들이 주 1회 등판하고 6일의 휴식을 취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체계는 투수들의 체력 관리와 부상 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타자 스탯
(1) BABIP (인플레이 타구 타율) 타자가 친 인플레이 타구가 안타가 될 확률입니다.
- 평균 BABIP: 약 .300
- .350 이상 → 운이 좋거나 강한 타구를 자주 만듦
- .270 이하 → 운이 나쁘거나 약한 타구를 자주 만듦
(2) ISO (순수 장타력) 장타율에서 타율을 빼서 계산합니다.
- ISO .250 이상 → 뛰어난 파워 히터
- ISO .180~.250 → 준수한 파워 히터
- ISO .140~.180 → 평균적인 타자
- ISO .140 이하 → 장타력 부족
(3) wRC+ (조정 득점창출력) 리그 평균 대비 공격력을 나타냅니다.
- 150 이상 → 슈퍼스타급 타자
- 120~150 → 매우 뛰어난 타자
- 100~120 → 평균 이상 타자
- 100 이하 → 평균 이하 타자
(4) WPA (승리 확률 기여도) 경기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평가합니다.
- WPA 6.0 이상 → 뛰어난 클러치 능력
- WPA 3.0~6.0 → 좋은 클러치 플레이어
- WPA 0~3.0 → 평균적
- WPA 0 이하 → 부정적 영향
(5) OBP (출루율) 얼마나 자주 출루했는지 나타냅니다.
- OBP .400 이상 → 매우 뛰어난 출루 능력
- OBP .350~.400 → 좋은 출루 능력
- OBP .320~.350 → 평균적
- OBP .320 이하 → 떨어지는 출루 능력
(6) OPS+ (조정된 OPS) 리그 환경과 구장을 고려한 타격 능력을 평가합니다.
- OPS+ 150 이상 → 슈퍼스타급
- OPS+ 125~150 → 매우 뛰어난
- OPS+ 100~125 → 평균 이상
- OPS+ 100 이하 → 평균 이하
(7) 시즌 타석 수 타자가 한 시즌 동안 들어선 총 타석 수입니다.
- 600타석 이상 → 주전급 핵심 타자
- 500~600타석 → 준수한 주전 타자
- 400~500타석 → 평균적인 타자
- 400타석 이하 → 벤치나 백업 타자
메이저리그(MLB): MLB는 팀당 162경기를 치르며, A급 주전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시즌 동안 600타석 이상을 기록합니다. 이는 한 경기당 평균 3.7타석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타석 수는 선수의 건강과 일관된 경기 출전을 반영하며, 주전 선수로서의 가치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한국프로야구(KBO): KBO는 팀당 144경기를 치르며, 주전 선수들은 시즌 동안 평균적으로 550~600타석을 기록합니다. 이는 한 경기당 평균 3.8~4.2타석에 해당합니다.
스탯을 활용해 선수 분석을 하면 더욱 재미있고 깊이 있게 야구를 즐길 수 있을 거예요!
⚾야구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ERA, WHIP, OPS – 야구 스탯 총정리
야구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요새 각 팀은 연습경기를 치르느라 아주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습니다. 야구를 보다 보면 ERA, WHIP, OPS 같은 영어로 된 야구 스탯(statistics, 기록)이 자주 등장합니다.
thegreenbookmedia.com
“‘노력형’ vs. ‘천재형’ 운동선수, 누가 더 성공할까?”
👀 오늘의 요약 블로그 안내 | Disclaimer본 블로그에서 작성되는 글들은 입문서나 실용적인 글이 아닙니다. 이곳에서는 저희 팀이 (부족하지만) 직접 읽고 경험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한 글들을
thegreenbookmedia.com
운동 신경 좋은 아이? 스포츠 DNA를 확인하는 테스트!
👀 오늘의 요약 블로그 안내 | Disclaimer본 블로그에서 작성되는 글들은 입문서나 실용적인 글이 아닙니다. 이곳에서는 저희 팀이 (부족하지만) 직접 읽고 경험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한 글들을
thegreenbookmedia.com
'자기계발 &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건강·지능 향상 방법 총정리 – 공부법, 영양제, 식단까지 [오늘의 요약] (1) | 2025.04.03 |
---|---|
몰라서 방치하는 염증 유발 습관 20가지, 항염 식습관·생활법 총정리 (+실천 가이드) (1) | 2025.04.02 |
성장기 아이를 위한 생활습관 7가지! 키가 쑥쑥 크는 루틴 만들기 (1) | 2025.03.27 |
아이키 성장폭발! 매일 2cm 더 자라는 간식 & 식단 루틴 가이드 (0) | 2025.03.27 |
당신의 체질을 5분 안에? 8체질 자가진단 & 섭생표 정리 (2) | 2025.03.26 |